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승마 역사

한국승마는 그 유래를 알 수 없을 만큼 멀고 아득한데, 먼 옛날부터 격구가 성행하여 이에 독립된 스포츠로서 경기에 임해져 왔으며 또한 마상제라 하여 무예로서도 발달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후 일본인들이 한국에 승마구락부를 설치함으로써 조직적인 승마발전이 촉진되었다.
1934년에는 서울운동장(현 동대문운동장)뒤에 서울승마구락부가 설립되어 동호인 훈련에 이용되었다.
해방과 더불어 독자적으로 한국승마발전에 이바지 해온 단체는 한국마사회와 한국학생승마연맹이다. 이 두 단체는 승마보급에 기여하는 동시에 마문화 진흥에도 공헌한 바 크다.1946년에는 제1회 한국승마대회가 개최되었고, 그 후 제15회 헬싱키올림픽과 제17회 로마올림픽에 출전하기도 했던 한국승마는 '86년 아시안게임 및 '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승마 발전에 많은 향상을 가져와 오늘에 이르고 있다.

승마란 무엇인가?

승마란 생명이 있는 말과 일체가 되어야 하는 특수한 성격을 지닌 운동으로서 신체를 단련하고 기사도 정신을 함양하여 호연지기를 기르는 스포츠이다.

물질문명의 메카니즘에 함몰된 현대인들은 자신도 모르게 본래 지녔던 낭만과 대담성을 실종당하고, 왜소해진 인간성은 이기주의와 탐욕에만 눈이 멀어 기계문명의 부속품으로 전락한 느낌이다. 현대인은 원시에의 희구를 갈구하며 그 희구에 부응하는 대표적인 것이 말이며 그 말과 함께 하는 운동이 승마라 할 수 있다.

승마는 신체의 평형성과 유연성을 길러 올바른 신체발달을 돕는 전신운동이며, 대담성과 건전한 사고력을 길러주는 정신운동과 동물 애호정신으로 인한 인간애의 함양을 가져다주는 운동이라 할 수 있다.

경마와 구분

혹자는 승마와 경마를 혼동하고 있는데 경마는 말과 기수(騎手)가 일체가 되어 최선을 다해 우승을 가리는 스피드 스포츠인 반면승마는 말과 기수가 호흡을 같이하여 마술적(馬術的)드릴과 쾌감을 얻는 아마추어 스포츠이다.

승마의 효과
  • 상체를 바르게 교정해준다.
  • 허리가 유연해진다.
  • 정신집중력을 기른다.
  • 장 기능이 강화된다.
  • 신체의 리듬감을 기른다.
  • 폐활량이 늘어난다.
  • 담력을 북돋운다.
  • 골반이 튼튼해진다.
  • 관절염 예방을 가져다준다.
  • 동물을 사랑하는 마음

현재 페이지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여 주십시오.

말의 습성
  • 공포성(恐怖性) : 예민한 감각과 스피드가 발달한 동물로서 겁이 많고 쉽게 놀라며 투쟁이나 공격보다는 도피가 최대의 방어 수단으로 상황변화시 달아나려고 한다.
  • 군서성(群棲性) : 외로움을 느끼므로 동료 말을 찾아 우리를 형성하려는 욕구가 강하다.
  • 귀소성(歸巢性) : 비둘기의 귀소본능(歸巢本能)과 비슷한 귀소성이 강하므로 어떤 상황에서든 자기의 집을 찾아온다.
  • 사회성(社會性) : 언어는 없지만 말들끼리 통하는 정보전달체계(情報傳達體系)로 주위의 가냘픈 소리나 사소한 움직임에도 콧소리를 내거나 발로 두드린다.
  • 정조성(貞操性) : 일부다처적(一夫多妻的)인 자연방목 군에서는 1두의 수말이 1군의 암말을 장악하여 성적권력(性的權力)이 형성 되나 암말과 수말 사이에 호악감(好惡感), 질투 (嫉妬), 애정(愛情)이 있어 봄철 번식기에는 암말이 수말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
  • 모방성(模倣性) : 군서성(群棲性)과 사회성(社會性)이 있기 때문에 동료말로부터 나쁜 생동을 쉽게 배워 실행에 옮기는 모방성이 강한 동물이다.
  • 기타특징
    • 기억력은 좋으나 이해력이 낮다.
    • 방어수단으로 가끔 물거나 뒷발질을 하며 도망간다.
    • 공문 접수가 안된 단체는 공원시설 이용이 제한 될수 있습니다.
    • 순발력이 뛰어나다.
    • 겁이 많다.
    • 칭찬과 꾸중을 잘 알아챈다.
말의 행동

말은 무리를 이루어 사는 동물로서 다른 말들과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하다. 인간과 같이 표정을 풍부히 나타낼 수는 없지만 얼굴이나 몸 천체로서 공포심 같은 기본적인 감정을 전달하고 표현한다. 사육마들은 인간을 자신들 무리의 일원으로 생각해 똑같은 신체언어로 말을 걸어온다.

주의 : 말은 차고 물을수 있으며 앞발로도 찬다.

  • 행복감의 표현

    만족감을 느끼는 말은 주위의 다른 말들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는다. 머리를 높이 들고 꼬리를 치켜세운 채 평소보다 요란한 동작을 하는 경향이 있다.

  • 발 구르기

    말은 음식을 기다리거나 갇혀 있을 때 참을성이 없어진다. 그러한 경우 발을 구르거나 마방문을 걷어차서 소음을 낸다.

    • 먹이나 물 등을 먹고 싶을 때
    • 물이 고인 곳이나 모래마장에서 옆으로 뒹굴고 싶을 때
    • 배가 아파서 매의 방향으로 보면서 고통을 호소할 때
  • 방목장에서

    말들은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자신이 잘 알고 있고 신뢰하는 사람이 곁에 있으면 즐거워 한다. 달아나는 대신 두려움 없이 사람에게 접근한다.

  • 관심 요구

    말들은 아이들처럼 무관심을 좋아하지 않는다. 주둥이로 밀침으로써 사람의 관심을 끌려 하기도 한다.

말의 기억

말은 한번 의식한 것은 적어도 6개월간은 잊지 않는다. 한번 시작된 말의 악벽은 수개월 또는 수년이 간다.
잘못된 것을 잊게 하기위해서는 적어도 6개월 이상이 지나야 한다.
단순히 말이 사람을 피하는 것을 적어도 6개월정도 지나면 해결할 수 있겠으나 말에게 필요없는 야단을 치거나 발로 차거나 때리거나 했을때 말이 사람을 적의에 찬 눈으로 바라볼 것이다.

말의 감각

말은 빠른 스피드를 갖고 있으며 공포심이 강하고 기억력이 대단히 좋은 습관의 전형적 초식동물이다. 따라서 말을 좀더 이해하려면 다음과 같은 마체 각 부위의 감각기관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야생의 말들은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및 미각에 의지해 생존해 나간다. 시각과 청각은 다가오는 위험을 피하고, 미각과 후각은 안전한 음식물을 구별한다.

말이 지나가는 자동차를 볼 때마다 달아나거나 하지 않듯이, 말이 길들여짐에 따라 감각에 대한 반응은 상당히 둔해지나, 그 감각 자체는 여전히 예민하다.
사람이 감지하지 못하는 무언가에 대해 말이 반응하는 경우가 있는데, 흔히 이를 육감이라 부른다. 이것은 사람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소한 정보를 분석해내는 말의 고도로 예민한 감각이라 할 수 있다.

양촛점 구간 왼쪽 시야의 범위 오른쪽 시야의 범위
  • 시각

    말의 양쪽 눈은 독립적으로 기능한다.
    각각의 눈은 360도의 넓은 시야를 확보하나 높낮이와 거리의 측정을 정확히 할 수가 없다.
    시력은 약하고 색의 분별력이 약한 편이다.

  • 청각

    귀는 180도를 회전하며 양 귀를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음향탐지기 역할을 하며, 사람이 듣지 못하는 고음이나 저음을 들을 수 있다.

  • 촉각

    말은 몸 천체에 걸쳐 예민한 촉각을 가지고 있어서, 한 마리의 파리도 알아차리고는 정확하게 꼬리를 휘둘러 쫓아 버릴 수 있다. 예고 없이 말을 만지면 말은 몹시 놀랄 것이다.

    • 수염

      수염과 눈 주위의 기다란 털은 가까이 있는 물체를 감지하는데 중요하다. 말의 털을 깎을 때, 이런 수염을 깎지 않도록 주의한다.

  • 후각

    정보의 습득.
    후각은 말이 음식물 안에 있는 이물질을 탐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데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주둥이를 서로 맞대어 친구에게 인사를 하거나 낮선 말을 구분 한다. 말은 코로 뿐이 호흡할 수 없으며, 바람이 불어오는 곳을 향하고 있을 때는 200M 정도의 거리도 냄새를 맡을 수 있다.

    • 냄새 분석

      플레멘으로 알려진 이 행동은 코구멍 뿐만아니라 입술 안쪽의 예민한 조직으로 "냄새맡기"를 동반할 수도 있다. 대개 교미시에 관찰되며, 공기중에 퍼트려진 성 호르몬인 "페로몬"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많은 말들이 처음으로 접하는 특이한 냄새나 음식에 이러한 반응을 보인다.

  • 미각

    말들은 짜고 단 음식을 좋아하고, 쓰거나 신맛은 싫어한다. 입은 먹이를 저장하고 맛을 본다. (단맛-혀앞, 쓴맛-혀뒤, 신맛-양옆, 짠맛-양옆)

말의 품종
말의 분류
말의 분류 표(구분, 품종으로 구성)
구분 품종
경 종(輕 種) 더러브렛, 아랍, 앵글로아랍
중간종(中間種) 앵글로노르만, 팔로미노, 트롯터, 해크닉
중 종(重 種) 퍼슈론, 샤이어
말의 분류 표(구분, 품종, 특징으로 구성)
구분 품종 특징
동양종 아랍, 페르시아
  • 피부가 얇고, 근육질이 강하다.
  • 등성마루가 높고 엉덩이가 평평하며 넓다.
서양종 아루텐네, 핀즈가
  • 피부가 두껍고, 지방질이 많다.
  • 등성마루가 높고 엉덩이가 평평하며 넓다.
대표적인 품종
대표적인 품종 표(품종, 이미지, 원산지, 용도, 체고, 특징으로 구성)
품종 이미지 원산지 용도 체고 특징
아랍(Arab) 아라비아 인도 승마용 145-155
  • 아름다운 몸체, 경쾌한 운동성
  • 강건한 체질, 지구력
  • 사지가 굵고, 발굽이 크다.
더러브렛(Thoroughbred) 영국 경주용, 승마용 158-165
  • 아라비아 말 중 아라비안
  • 바이아리다크 돌핀 + 영국산말
  • 날씬한 몸매, 우수한 질주능력
  • 질병 저항력과 지구력이 약함
앵글로아랍(Angloarab) 프랑스 경주용, 승마용 155-160
  • 아랍과 더러브렛의 교배종
  • 두 종류의 장점소유
쿼터호스(Quarterhorse) 미국 경주용
  • 1/4마일의 단거리 경주에 뛰어난 순발력을 보인 연유로 명명
재래종(조랑말) 제주 경주용, 승용사역
  • 천연기념물(347호)
  • 질병 저항력, 지구력이 강함

*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말의 품종은 약 200여종

조랑마(pony)
  • 팔라벨라(Falabella)
    • 원산지 : 아르헨티나
    • 체고 : 65~70cm (세계에서 제일작음)
    • 모색 : 다양함
    • 성격 : 사교적이며 영리함
    • 용도 : 애완 동물
  • 세틀랜드 포니(Shetland pony)
    • 원산지 : 스코틀랜드
    • 체고 : 93-102cm 정도
    • 모색 : 검은색 또는 갈색 바탕에 넓은 무늬
    • 성격 : 점잖으면서 용감하다
    • 용도 : 어린이 승마용 또는 마차
  • 미국 포니(Pony of the americas)
    • 원산지 : 미국
    • 체고 : 112-130cm 정도
    • 모색 : 회색의 바탕색에 흑색과 밤색의 반점
    • 성격 : 온순하고 희생적이며 다재다능함
    • 용도 : 어린이 승마용
  • 웰시마운틴 포니(Welsh mountain pony)
    • 원산지 : 영국의 웨일즈
    • 체고 : 120cm정도
    • 모색 : 모색 회색, 갈색 또는 밤색이 대표적
    • 성격 : 적극적이고 총명함 지구력이 강함
    • 용도 : 사냥마, 곡예마
  • 더러브렛(Thoroughbred)
    • 원산지 : 영국
    • 체고 : 평균 160cm 정도
    • 모색 : 발색, 갈색, 흑갈색, 회색, 검은색
    • 성격 : 대담하고 활동적이며 용감함
    • 용도 : 승용마, 단거리경주마, 장애물마
  • 아랍(Arab)
    • 원산지 : 아라비아
    • 체고 : 142~151cm 정도
    • 모색 : 회색, 갈색, 밤색, 간혹 검은색
    • 성격 : 성급하나 총명하며 용감함, 지구력 강함
    • 용도 : 승용마, 지구력 경주마
  • 앵글로아랍(Angloarab)
    • 원산지 : 영국, 프랑스, 폴란드
    • 체고 : 평균 162cm 정도
    • 모색 : 갈색, 밤색
    • 성격 : 용감, 명랑, 총명함
    • 용도 : 마장마술, 지구력경기, 장애물비월, 사냥
  • 미국 새들브레드(Armeican Saddlebred)
    • 원산지 : 미국
    • 체고 : 150-160cm 정도
    • 모색 : 다양한색 등에 흰무늬
    • 성격 : 적극적이고 활기가 강함 운동이 경쾌함
    • 용도 : 장거리 여행용 승요암, 경승용마
  • 미국 스탠다드브레드(American Standardbred)
    • 원산지 : 미국
    • 체고 : 152cm 정도
    • 모색 : 검은색, 흑갈색,갈색, 밤색 등
    • 성격 : 용감하고 투지가 강함
    • 용도 : 속보경주, 흑대보경주마
  • 테네시 워킹(Tennessee Walking horse)
    • 원산지 : 미국
    • 체고 : 150~160cm 정도
    • 모색 : 다양함
    • 성격 : 온순, 명랑, 운동이 경쾌
    • 용도 : 외국 승용마
  • 모르간(Morgan Horse)
    • 원산지 : 미국
    • 체고 : 140-152cm 정도
    • 모색 : 검은색, 흑갈색, 갈색, 밤색
    • 성격 : 활동적, 용감하고 씩씩함
    • 용도 : 외승 승용마, 속보 경주마
  • 해크니(Hackney horse)
    • 원산지 : 영국
    • 체고 : 143~153cm 정도
    • 모색 : 검은색, 갈색, 진흑갈색, 밤색
    • 성격 : 기민성이 있고 용맹함
    • 용도 : 마차마, 측대보 경주마
  • 클리브랜드(Cleveland bay)
    • 원산지 : 영국
    • 체고 : 152~161cm 정도
    • 모색 : 주로 갈색
    • 성격 : 지적, 활동적이며 예민함
    • 용도 : 마차마, 수렵마
  • 웰러(Waler)
    • 원산지 : 호주
    • 체고 : 160cm 정도
    • 모색 : 다양함
    • 성격 : 용감하고 지구력이 강함
    • 용도 : 경주마, 승용마
  • 아팔루사(Appaloosa)
    • 원산지 : 미국
    • 체고 : 140-152cm 정도
    • 모색 : 6가지 형태의 얼룩 반점
    • 성격 : 속도, 지구력이 좋고 매혹적임
    • 용도 : 승용마, 수렵마
  • 핀토(Pinto)
    • 원산지 : 미국
    • 체고 : 다양함
    • 모색 : 검은색과 흰색으로 근무늬를 이름
    • 성격 : 용감하고 총명함
    • 용도 : 승용마, 수렵마
  • 퍼슈론(Percheron)
    • 원산지 : 프랑스
    • 체고 : 152~170cm 정도
    • 모색 : 회색 또는 검은색
    • 성격 : 총명하고 정력적임, 다루기 쉬움
    • 용도 : 짐마차마
  • 샤이어(Shire)
    • 원산지 : 영국
    • 체고 : 170~180cm 정도
    • 모색 : 갈색, 진흑갈색이 보통
    • 성격 : 점잖고 유순하여 아이들과 잘 어울림
    • 용도 : 짐마차마, 농경마, 곡예마
  • 브라반트(Brabant)
    • 원산지 : 벨기에
    • 체고 : 170cm 정도
    • 모색 : 갈색, 밤색, 회색, Roan
    • 성격 : 대담하고 의지가 강하나 온순한 편
    • 용도 : 포병용(1차 대전시) 마차마
  • 브레톤(Breton)
    • 원산지 : 프랑스
    • 체고 : 143~160cm 정도
    • 모색 : 밤색, 갈색, Roan
    • 성격 : 활동적이고 대담함
    • 용도 : 농경마
말의 사료

말에게 필요한 중요영양소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광물질, 비타민, 수분등으로자연군(自然群)에서는 이들 영양분을 주로 목초(풀)에서 얻었으나 현재의 승용, 경주마들은 가공 및 정제된 사료로 영양분을 공급하고 있다.

말의 분류 표(구분, 재료로 구성)
구분 재료
초식류 알파파, 오차드그라스, 티모시, 레드클로버
곡식류 귀리, 옥수수, 보리, 밀기울
첨가제 소금, 영양제
기호품 홍당무, 각설탕, 사과, 수박

현재 페이지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여 주십시오.

마체부위의 명칭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1. 머리 : 적당한 크기에 피부가 잘 건조해져 있다.
  2. 목 : 길고 비스듬하고 낮게 보인다.
  3. 등성마루 : 피부는 적당히 두껍고 길며 정점이 분명하다.
  4. 등 : 쭈욱 곧고 짧다.
  5. 허리 : 넓고 짤고 두꺼우며 요점이 양호하다.
  6. 엉덩이 : 폭이 넓고 길며 근육은 충실하고 조금 경사져 있다.
  7. 꼬리 : 꼬리의 등성이가 굵고 높이 달려있다.
  8. 비절 : 골조가 분명하고 넓고 두꺼우며 피부는 팽팽하다.
  9. 배 : 적당한 크기로 팽팽하고 피부가 얄팍하다.
  10. 구절 : 조임이 좋고 강대하다.
  11. 발굽 : 보통의 크기로 좌우 거의 같고 각질은 치밀하며,
    체구 및 체관이 크게 발달하여 있다.
  12. 전관 : 짧고 넓고 근육 분리가 양호하다.
  13. 앞무릎 : 길고 넓고 두껍고 정면을 향하고 있다.
  14. 팔꿈치 : 앞다리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적당히 떨어져 있다.
  15. 앞가슴 : 전방으로 잘 불러져 있다.
  16. 가슴 : 깊고 늑골이 잘 퍼져있다.
  17. 어깨 : 길게 경사져 있고, 근육은 잘 발달해 있다.
  18. 입술 : 입아귀는 적당히 길다.
  19. 코 : 콧날개가 넓고 콧구멍이 크다.
  20. 눈 : 둥글둥글하고 맑다
  21. 귀 : 비교적 짧고 긴장감 있다.
마구의 종류
  • 안장고리 동자고리 안장날개 안장꼬리
    안 장(鞍裝)
  • 가슴걸이

    안장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

  • 재킹 (pad)
    안장깔개

    말등 보호 + 땀 흡수

  • 등자쇠 (Stirrup)
    등자(子)

    기승시 두발로 디디는 물건으로 기승자의 균형 유지 및 말 제어 역할

  • 복 대(腹帶)

    안장을 말등에 고정시키는 것

  • 재 갈

    말 아가리에 가로 물리는 가느다란 막대로 여기에 고삐를 매어 말을 제어하는 역할

1 2 3 4 5 6 7 8
  1. 이마끈
  2. 빵끈
  3. 제갈대
  4. 고삐
  5. 제갈고리
  6. 머리끈
  7. 턱끈
  8. 굴레

굴 레 - 말 제어를 위하여 머리에 목에서 고삐에 걸쳐 얽어매는 줄 일반적으로 가죽이므로 고리가 많음

승마 복장
  • 옷의 종류
    • 츄리닝은 신축성이 있어 마찰로 인한 상처가 발생
    • 두꺼운 청바지 또는 면바지가 말리거나 접히지 않아 마찰부상 최소화
  • 상의
    • 허리 아래로 내려오는 길이의 상의 착용
    • 상의를 바지속으로 넣고 단추를 채워 말장구의 많은 고리들에 걸려 발생하는 낙마 또는 옷 손상을 방지
  • 신발
    • 등자쇠는 보통 12cm의 폭이므로 폭이 좁은 신발을 착용
  • 악세사리
    • 머리핀, 반지등은 사고시 흉기로 변함
말을 끄는 요령
  • 말은 항상 말의 왼쪽에서 끌도록 한다.
    그리고 고삐는 말의 턱밑 가까이 에서 오른손으로 양고삐를 쥔다.
    그런 다음 앞으로 걸어가면 고삐를 잡아끌지 않아도 말은 잘 따라 갈 것이다.
    말을 끌고 갈 때 앞으로 가지 않으려고 할 때에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뒤에서 말을 몰아주도록 한다.
    그리고 왼손으로 늘어진 고삐 끝을 항상 잡고 있어야 오른손이 고삐를 놓치더라도 말이 달아나 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옆 그림의 모습처럼 오른손 집게손가락을 양고삐 사이에 넣어 쥐고 남은 고삐끝을 왼손으로 잡는다.
승하마법
승마 순서

항상 말의 왼쪽에 서야하며, 말의 어깨쪽을 향해 서서 말에 올라가야 한다.

  • 왼손으로 양쪽 고삐와 안장머리 또는 갈기를 함께 쥐고 오른손으로 등자쇠를 자신의 앞쪽으로 돌린다.
  • 왼발을 등자쇠에 끼우고 말 가까이에 선 다음 오른손은 안장꼬리를 잡고 몸을 안장쪽으로 돌린다. 오른발을 힘차게 두세번 굴러 뛰어오르고
  • 균형이 잡혔다고 생각되면 오른손은 안장머리로 옮긴 다음 오른쪽 다리를 말 엉덩이에 위로 높이 올려 말의 몸에 닿지 않도록 하고
  • 가볍게 안장위에 앉은 후 오른발을 등자쇠에 끼운다.

승마전 말의 목덜미 등을 애무해주어 말이 경계심을 갖지 않도록 함이 중요하다.

하마 순서
  • 말에서 내리기 전에 말은 완전히 정지해 있어야 하며 그 후에 양쪽 발을 등자에서 뺀다.
  • 왼손으로 고삐를 모아 쥐고 오른손으로 안장머리를 잡는다.
  • 상체를 앞으로 숙이고 오른발을 말 엉덩이 위로 높이 들어올린 다음 양발을 모아
  • 가능한한 말 가까이에서 가볍게 미끄러져 내린다.

하마하기전 말을 애무해주어 안정감 있는 정지상태에서 하마하는 것이 중요하다.

낙마 시 유의사항
  • 낙마 시 유의사항
    • 기승자의 움직임보다 말의 움직임이 빨라 예측불가
  • 고삐는 생명줄
    • 낙마 시 고삐를 놓지 않으면 커다란 사고방지
승마자세
올바른 승마자세
  • 머 리 : 머리는 똑바로 하고 거북하지 않을 정도로 턱을 당긴다.
  • 눈 : 눈은 항상 정면을 향해 최대한 많은 시야를 확보하고 다른 말의 상황 등 주위 상태를 관찰 한다
  • 어 깨 : 어깨는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내린다.
  • 팔 : 팔은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내린다. 팔꿈치는 허리에 가볍게 접촉시킨다.
  • 상 체 : 상체는 힘을 넣지 말고 가슴과 등을 똑바로 편다.
  • 다 리 : 다리는 자연스럽게 내리고 종아리를 마체에 가볍게 접촉 시킨다.
    • 안장위에 서있다는 느낌을 갖는다.
고삐잡는 법
  • 바른 자세
  • 잘못된 자세
  • 바른 방법
  • 잘못된 방법
주먹의 위치
  • 일반적인 방법
  • 영국식 방법
  • 좌,우 주먹간 간격 : 약 10cm
  • 말의 등선마루와 주먹간격 : 약 10cm
  • 기상자의 배와 주먹 간격 : 약 10cm
등자밟는 법
  • 바른 방법
  • 바른 방법
  • 잘못된 방법
잘못된 승마자세
  • 첫번째
    상체가 너무 앞으로 숙여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자세가 불안정하다.
    승마경험자가 조급할 때 보이는 매우 위험한 자세
  • 두번째
    상상체가 뒤로 젖혀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자세가 불안정하다. 초보자에게 나타나는 자세
말의 운동요령
부조(扶肋)란?

말을 지배하는 방법으로 승마자의 의사를 말에게 전달하여 말을 승마자가 생각한대로 움직이게 하는 수단을 부조라 한다.

부조의 종류와 기능
부조의 종류와 기능 표(종류, 기능, 수단으로 구성)
종류 기능 수단
고삐 부조 정지, 후퇴, 방향전환 채찍, 박차, 음성 등
다리 부조 전방추진, 방향전환
체중전이 부조 정지, 전진, 회전
부조 사용시 주의사항
  • 가능한 적은 힘으로
  • 순간적인 동작으로 하며 필요할시 반복
  • 언제나 일관된 동작으로
  • 명확한 부조를 사용해야하며 상반된 부조를 사용해서는 안됨
걸음걸이의 종류와 순서
종류
평보(보통걸음) 속보(빠른걸음) 구보(보통질주)
평보(보통걸음)(walk)
  • 속력 : 110m/분 6km/시간
  • 박자 : 4절도
  • 항상 세다리는 지면에 붙이고 한다리를 떼어 놓는다.
    뒷다리, 같은쪽의 앞다리, 반대쪽의 뒷다리, 반대쪽의 앞다리 순으로 차례대로 걸음을 옮긴다.
속보(빠른걸음)(Trot)
  • 속력 : 220m/분 15km/시간
  • 박자 : 2절도
  • 반대쪽 앞·뒤다리를 동시에 움직인다. 항상 한쪽의 앞다리 또는 뒷다리가 체중을 받치고 있기 때문에 파행을 찾아내는데 유용하다.
구보(보통질주)(Canter)
  • 속력 : 320m/분 24km/시간
  • 박자 : 3절도
  • 반대쪽 앞·뒤다리가 동시에 지면을 박차고 나머지 다리는 따로 움직인다. 주행중에 어느 다리도 지면에 붙어있지 않는 순간이 생긴다.
습보(전력질주)(Gallop)
  • 속력 : 990m/분 60km/시간
  • 박자 : 4절도
  • 구보(보통질주)와 동일한 형태로 움직이나, 구보(보통질주)에서 같이 움직이던 두 다리는 별도로 움직이는데, 뒷다리가 반대쪽 앞다리보다 먼저 착지한다.
순서
  • 평보(平步,보통걸음)- 말의 자연스러운 걸음의 하나이며 4절도(4節度)로 움직인다.
    • 순서 ① 왼쪽 뒷다리 ② 왼쪽 앞다리 ③ 오른쪽 뒷다리 ④ 오른쪽 앞다리
    • 평보(보통걸음)의 속도는 시간당 약 6㎞를 갈 수 있으며 이 속도는 훈련을 통해서 늘이고 줄일 수도 있다.
  • 속보(速步,빠른걸음)
    • 순서는 ① 왼쪽 뒷다리와 오른쪽 앞다리 , 공지기 (室地期) ② 오른쪽 뒷다리와 왼쪽 앞다리, 공지기 (空地期)
    • 속보(빠른걸음)는 규칙적인 2절도(2節度)의 보법으로서 대각선상의 앞 뒤 다리가 동시에 움직인다.
  • 구보(驅步,보통질주)
    • 우구보시 순서는 ① 왼쪽 뒷다리 ② 오른쪽 뒷다리와 왼쪽 앞다리 ③ 오른쪽 앞다리, 공지기 (空地期)순이다.
    • 구보(보통질주)는 불균형한 3절도(3節度)의 보법으로서 좌구보(左驅步) 또는 우구보(右驅步)로 실시 할 수가 있다.
    • 구보(보통질주)의 속도는 시간당 약 24㎞를 갈 수 있으며 이 속도는 훈련을 통해서 늘이고 줄일 수도 있다.
  • 구보(보통질주)시 유의사항
    • 구보(보통질주)시 오른쪽 앞발이 먼저 나가는 것을 우구보라 하며 반대로 왼쪽 앞발이 먼저 나가는 것을 좌구보라 한다.
    • 오른쪽 방향으로 구보(보통질주)를 할 때 우구보를 하여야 하며 왼쪽 방향으로 구보(보통질주)할 때 좌구보를 하여야 한다.
    • 그렇게 하여야만 말에게 부담을 주지 않아 말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승마시 유의할 사항
등자끈 조절
  • 평지에서
    승마전 반드시 등자끈을 알맞게 조절 하여야 한다.
    평지에서 오른쪽 주먹을 가볍게 쥐어 등자고리에 대고 등자쇠 끝이 오른쪽 겨드랑이에 닿으면 말등위에서 등자를 빼고 발을 내렸을때 발목 복숭아뼈 부위에 등자가 있게 된다.
  • 말등위에서
    승마자가 기승시에 등자끈 길이가 맞지 않으면 길이를 조절하여야 한다.
    등자 바깥끈을 등자고리에서 약간 잡아당긴 후 원하는 길이로 조절한 후 등자 안쪽 끈을 잡아당겨 원위치로 한다.
    등자의 길이는 말등에 앉았을 때 등자쇠가 복숭아뼈 부위에 오면 된다.
복대 조이는법

안장날개를 들어 올리고 안장에 붙어있는 복대조임끈을 잡아당긴다. 집게손가락을 복대 조임끈 구멍에 고리를 끼운다. 복대 두 고리를 같은 높이로 조인다

채찍 드는 법
  • 올바른 모습
    채찍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뒤로 향하여 승마자의 넓적다리위에 있도록 한다.
  • 잘못된 모습
    채찍을 그림처럼 위로 들고 타는 것은 잘못된 방법으로 말을 놀라게 하거나 흥분시키게 할 수 있다.
다리의 위치
  • 올바른 모습
    승마자는 등자쇠를 발 길이의 1/3정도만 밟도록 하며 발뒤꿈치를 밟아내려 다리를 되도록 밑으로 뻗는다.
    종아리는 복대 약간 뒤쪽에 위치한다.
  • 잘못된 모습
    위 그림은 승마자의 발이 너무 벌어져 있어 말이 움직일때 마다 승마자의 발 뒤꿈치가 흔들려 말을 자극하게 된다.

현재 페이지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여 주십시오.

애마 수칙
  • 말을 두려워하지 말고 친근감을 가져라.
  • 뒤에서 무심코 접근하지 말고 앞쪽에서부터 천천히 다가서라.
  • 말과 함께 있을 때는 정다운 얘기를 하라.
  • 마방에서 절대로 야단치지 말라.
  • 쿵하고 너무 세게 말에 오르지 말고 사뿐히 하라.
  • 말을 끌때는 잡아당기듯이 끌지 말고 따라가듯 하라.
  • 갑자기 심한 운동을 하지 말고 준비운동을 충분히 하라.
  • 앞쪽에서 말을 야단치지 말라.
  • 말이 낯선 것에 정신을 팔아도 야단치지 말라.
  • 콧등의 접근을 싫어하므로 쓰다듬는 것을 삼가하고 목덜미 부분을 애무하라.
  • 함부로 박차나 채찍을 사용하지 말라.
  • 낙마했다고 해서 말을 원망하거나 나무라지 말라.
  • 승마종료 후 곧 말을 마방에 넣지 말고 평보(보통걸음), 끌기, 손질등으로 마무리운동을 시켜라.
  • 한 여름에는 심한운동을 피하라.
  • 말에 오를때 배를 차지 않도록 주의하라.
  • 바닥이 딱딱한 곳에서 구보(보통질주)를 오래하지 말라.
  • 안장을 난폭하게 쾅하고 얹지 말라.
  • 굽을 마르게 하면 트기 쉬우므로 적당히 제유를 발라주어라.
  • 말을 타기 전에 말을 깨끗이 손질하라.
  • 강한 냄새가 나는 것을 말 가까이에 두지 말라.
승마인 수칙
  • 승마시에는 안전모의 턱끈까지 착용합니다.
    • 헬멧을 착용하는 이유는 멋을 내기 위해서가 아니라 낙마 시 머리를 보호해야 하기 때문이며 턱끈을 매지 않으면 낙마 시 모자가 먼저 벗겨짐으로 인해 머리를 보호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 승마 전에는 마체의 상태, 장안, 굴레등에 이상이 없는가를 확인합니다.
  • 말에 접근할 때는 말의 왼쪽 어깨 방향으로 접근합니다.
    • 말을 끌때나 기승할 때등 어떠한 경우에도 말의 왼쪽으로 접근하고 뒤쪽에서 접근하거나 서있지 않아야 합니다.
    • 말은 공포심이나 경계심이 많으므로 뒤쪽에서 접근하거나 서있으면 자기 위해요인(危害要因)으로 알고 방어수단으로 뒷발질을 하기 때문입니다.
  • 마장에서는 우측통행을 합니다.
    • 같은 방향에서 추월시는 마장안쪽으로 합니다.
  • 채찍을 소지하고 사용할 때는 다른 말이 놀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타마와 나란히 운동할 때에는 좌우 2m, 전후 4m이상의 거리를 유지합니다.
  • 과격한 운동을 계속하면 말에 피로와 고통을 주게 됩니다. 준비운동 및 운동간의 휴식, 그리고 종말운동을 적절히 배합하여 실시합니다.
  • 마장에서는 인마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교관의 지시에 순응합니다.
  • 마장과 마사내에서는 담배를 피우지 않습니다.
  • 말을 유도(誘遵)할 때(끌고 다닐때) 말의 왼쪽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고삐를 짧게 잡아야 합니다.
    • 길게 잡으면 순간적으로 놀랐을때 도망치려는 여유를 주게 되므로 위험합니다.
  • 마사(馬舍) 출입시에는 말에서 내려야 합니다.
    • 마사는 말들이 편히 쉴 수 있는 안식처로 정숙을 유지해야 하며 순간적인 말의 놀람으로 인하여마사건물에 부딪칠 염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 말은 다른 말들과 쉽게 어울려 뛰려고 하기 때문에 타 마필 또는 그룹에 질주하며 뛰어들지 않도록 합시다.
  • 급격히 회전시에는 서행합시다.
    • 일정한 방향으로 운동중에 있는 말은 원심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급격히 회전 시키면 말에게 좋지 않으며 어느 한쪽의 발에 말의 무게중심을 두기 때문에 무게중심을 옮길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기 위해서 방향 전환 시에도 중간에 잠시 말에게 숨을 돌리게 한 다음 운동을 하여야 합니다.
  • 안전을 위해 관계직원의 주의와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멋진 승마인이 됩시다. 안장은 승마전에 본인 스스로! 수장은 승마후에 본인 스스로!!

승마경기를 관전하는 요령

승마경기를 올바로 이해하면서 관전하기란 다른 운동을 관전하는 것보다 어렵다.
그 이유는 다른 운동종목은 모두 인간이 물리적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능력을 직절 표현하지만 승마는 특수하게 생명체인 말을 통하여 인간의 이런 능력을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승마경기를 올바르게 관전하려면 선수의 능력이 어떻게 말을 통하여 표현되어지는가를 우선 이해하고 말의 자세와 동작에 대해서도 익숙해지지 않으면 안된다. 그럼으로써 기승한 선수의 능력을 동시에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마장마술경기

이 경기는 아래 그림과 같이 가로 60m, 세로 20m의 마장에서 일정하게 정해진 운동과 목을 얼마나 정확하고 아름답게 하는가를 심판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경기이다. 국제마술연맹의 마장마술경기 규정에 의하면 승마자는 말에게 침착하고 유순하며, 늘어지 않고 유연성, 신뢰감, 주의력 및 민첩성을 부여함으로써 인마일체가 되는데 마술의 목적을 둔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하려면 구체적으로

  • 첫째, 보조가 자연스럽고 조화되어야 할 것.
  • 둘째, 운동이 잘 조화되고 경쾌하며 무리가 없어야 할 것.
  • 셋째, 왕성한 추진력에 의하여 앞다리가 경쾌하며 뒷다리가 잘 사용되어야 할 것.
  • 넷째, 계속 순종성을 유지하며 긴장과 저항 없이 재갈을 입에서 받고 있을 것.

등에 의하여 실현된다고 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승마자가 요구하는 운동을 말이 자발적으로 하는 것처럼 보여야 하며 승마자를 신뢰하고 주의를 기울이며 경쾌하게 자신을 맡기고 직선상의 어떤 운동에 있어서도 똑바로 자세를 유지하며 곡선 상에서는 마체를 곡선에 일치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승마자는 어떠한 운동과목 중이라도 전혀 말위에서 동요 없이 안정되고 우아한 자제를 유지해야 된다.
주먹은 서로 접근하면서 닿지 않으며 낮게 내려서 말 목 위에서도 닿지 않게 고정되어 있고 팔꿈치와 팔은 몸에 댐으로서 부드럽고 상체를 곧게 펴고 있으나 유연하게 흔들림이 없으며, 다리도 등자를 자연스럽게 내려 밟은 상태로 마체에 고정되어 동요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승마란 동적인 운동이므로 이렇게 바른 자세로 앉아 있는 것만이 최선은 아니다.
정해진 지점에서 말의 걸음을 바꾸거나 정지, 전진을 수시로 하기 때문에 승마자는 항상 주먹, 다리를 사용하며 체중을 이동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동작을 되도록 보는 이들의 눈에 띄지 않게 할수록 보다 좋은 점수를 얻게 되며 이것이 앞에서 말한 말이 자발적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다.
말은 승마자의 지시에 자신없이 굽실거리지 않고, 주의력과 신뢰를 가지고 기꺼이 응하며 모든 동작에 조화와 경쾌함이 있어 무리하지 않아야 된다.
이것은 말이 승마자의 가벼운 접촉의 동작에 의해 유연한 목덜미를 가지며 조금도 저항(말이 머리를 치켜들거나 흔드는 것, 이유 없이 다리를 차거나 일어서는 등의 행위)이나 회피(운동중 코스를 이탈하거나 방향을 급히 바꾸는 등의 행위)가 없는 재갈받이(말이 입속의 재갈을 즐겁게 받으면서 머리를 정상적인 위치로 계속 유지한 채로 거리낌 없이 진행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말이 혀를 입 밖으로 내밀거나 목을 깊게 안쪽으로 말아들이며 이를 갈거나 꼬리를 몹시 흔드는 것 등도 말의 신경질, 긴장, 저항을 나타내는 것으로 경기중의 이런 행위는 좋은 점수를 받을 수가 없다.
마장마술은 고도의 예술성을 발휘하는 운동이다.
그것은 형(形)과 리듬으로 구성되는 기술이며 그 극치는 예술인 것이다.따라서 마술이란 사람이 아닌 말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된 것처럼, 말이 승마자에 순종하고 신뢰감을 가지고 경쾌하며 승마자도 안정되게 운동 과목을 실시한다 하더라도 마체가 볼품이 없거나 동작이 아름답지 못하면 마장마술에 출전할 자격조건을 갖추었다고 볼 수가 없는 것이다. 간혹 볼품없는 외모에 비해 동작이 아름다운 말이 좋은 성적을 내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외모나 동작 모두가 아름다운 말이 없기 때문으로 생각하면 된다.
아름다운 몸매를 지닌 말이란 우선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좌우 대칭이 좋고 몸체의 균형이 맞아야 하며 각 부위로의 이행이 완만하여 목의 곡선이 아름다워야 한다.
몸퉁은 어깨, 가슴이 잘 발달되어 균형 있으며 배와 옆구리가 여위지 않고 충실하며 엉덩이가 탄탄한 느낌이 들고 몸통과 조화되어 있어야 한다.
꼬리는 굵기와 길이가 적당하고 부착 위치가 좋아야 하며 항상 힘이 넘쳐 있어야 한다. 사지는 곧고, 굵기, 길이, 경사가 적당하고 강인한 느낌이어야 한다.
기타 피부가 얇고 유연하며 털이 윤기 있고 귀가 종긋하며 맑은 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런 말이라면 아무리 마장마술경기를 처음 관전하는 사람이라도 그렇지 못한 말과 충분히 구별할 수 있으며 승마자의 기량이 아주 뒤떨어지지 않는 한 좋은 성적을 기대해도 틀림이 없을 것이다.

다음은 각 기본운동 과목별로 어떤 점에 착안하여 경기를 관전해야 하는가를 설명하겠다.
  • 전 진
    정지한 말을 요구하는 운동으로 전진시키는 것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전진에 따른 사람의 중심일치 상태이다.
    다시 말해 말의 전진 동작에 따라 관성에 의해 승마자가 뒤에 쳐진다든지 하는 것이 없이 바른 자세를 가지고 따라가는 것을 말한다.
  • 정 지
    행진중인 말의 걸음을 중단시켜 정지시키는 것으로 이때는 네 다리를 바르게 정렬시키는 것이 필수 요건이다. 어느 한 다리라도 앞쪽이나 뒤쪽으로 딛지 않고 두 앞다리와 두 뒷다리는 한 선위에 정렬되어야 한다. 이때 목은 바르게 머리는 수직에서 약간 전방으로 유지한다. 귀와 꼬리등 모든 동작이 멈추어진 상태일수록 좋다. 정지시의 동작은 급정지가 아니고 마치 날아가는 학이 소나무 가지에 앉는 듯한 가벼우면서도 신속한 동작이어야 한다.
  • 후 진
    좌우 똑같이 행해지는 역행운동으로 발을 충분히 돌려 끌지 않으며 직선상에서 똑바로 걸음을 뒤로 옮겨야 한다. 이때 승마자의 조작에 머리를 쳐들거나 흔드는 행위, 입을 벌리고 머리를 내리는 등의 반항이 없어야 한다.
  • 평 보(보통걸음)
    네 다리를 4절도에 의해 한 다리씩 전진시키는 걸음이다. 이때 딱딱한 땅에서라면 네 다리를 딛는 소리가 일정하고 명료하게 들려야 한다.
    • 보통평보 : 평상적인 보폭으로 1분간 110보를 걷는 속도의 걸음
    • 수축평보 : 보통평보 보다 보폭은 단축되나 목을 높이고 걸음을 보다 높이 걸으며 당당하고 활력이 있는 걸음
    • 중간평보 : 신장평보의 중간정도
    • 신장평보 : 보폭을 될 수 있는대로 넓게하여 걷는 보도가 신장된 평보. 뒷다리가 앞다리 발자국을 넘어 딛는 것이 원칙이다. 이때 말의 머리는 내뻗어도 된다.
    • 자유평보 : 휴식을 위한 걸음으로 고삐를 늦추어 말의 머리를 자유스럽게 내뻗게 하여 긴장을 완화시키는 걸음
  • 속 보(빠른걸음)
    말의 대각선 앞 뒷다리(좌전지-우후지, 또는 우전지-좌후지)가 동시에 걷는 2절도의 걸음이다.
    속보(빠른걸음)의 좋고 나쁨은 걸음의 탄력성과 일정도, 유연성, 활발성, 경쾌성 및 추진기세 등에 의해 평가된다.
    • 보통속보 : 분당 220m를 가는 평상적인 속보(빠른걸음)로 뒷다리가 정확히 앞다리의 발자국을 밟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수축속보 : 속도는 감속, 보폭은 단축, 마체는 머리를 높이굴요(屈橈 : 말의 입을 양보하여 머리를 높게 들고 콧등을 수직상태로 만드는 것)하여 수축에 의한 강한 전진기세가 있으며 동작이 경쾌한 속보(빠른걸음)
    • 중간속보 : 보통속보와 신장속보 사이에 있는 걸음으로 중간정도로 신장된 걸음과 후구로부터의 추진력을 가지고 있는 속보(빠른걸음)
    • 신장속보 : 보폭을 최대한 넓게 하여 걷는 속보(빠른걸음), 앞다리를 내어 뻗고 뒷다리가 몸체밑으로 깊이 디디며 강한 탄발력이 있어야 한다.
  • 구 보(보통질주)
    3절도로 이루어진 걸음으로 네 다리가 일시 공중에 비약하는 공지기의 간격이 있다. 이때 마체를 진직(眞直)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보통구보 : 분당 320m를 가는 평상적인 구보(보통질주)로 후구의 동작에 의하여 발동되는 추진력이 중요시되는 걸음
    • 수축구보 : 보폭을 단축하여 보퉁 구보보다 굴요된 상태로 걷는 걸음. 수촉속보와 마찬가지 요령
    • 중간구보 : 보통구보와 신장구보 사이에 있는 걸음. 중간속보와 요령이 동일
    • 신장구보 : 분당 420m를 가는 구보(보통질주)로 속보(빠른걸음)의 신장 요령과 동일
    • 걸음바꿈 : 구보(보통질주)시 공중에서 다리를 변환하는 것으로 특정지점이나 일정한 걸음마다 변환한다.
      걸음바꿈시 마체는 반드시 직진을 유지
  • 옆걸음(사행보와 하프패스)
    운동과목의 진행 중 비스듬한 방향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말은 수축되고 추진 기세를 잃지 않으며 바깥쪽 다리가 안쪽 다리를 넘어 교차하고, 말의 눈길은 진행방향을 보며 걷는 걸음. 이때 후구보다 전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기 타
    • 윤승 : 마체를 곡선에 일치시키고 똑바르게 원운동을 하는 것.
    • 선회 : 앞다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지선회(前脂旋回)와 뒷다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후지선회(後脂族回)가 있다. 두가지 모두 한걸음 한걸음, 후진이나 정지없이 침착하게 회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외에도 고등마술에서 실시하는 운동과목도 여러 가지 있으나 국내에서는 대개 이상과 같은 과목으로 구성된 종목으로 경기를 실시한다.
마장마술경기의 진행 방법은 호명한 선수가 마장의 A지점에서 입장하여 X지점에서 정지하여 전면에 있는 심판석을 향해 경례를 하면 경기가 시작된다.
경기 개시 전이라도 입장할 때부터 채점이 시작되며 각 과목을 끝내고 코스에 정해진 지점에서 정지하여 경례를 하면 경기가 끝난다.
채점은 구분된 각 과목별로 실시되며 그 외에 보조나 승마자의 자세에 대한 종합관찰 점수가 채점되어 최종적인 점수가 집계되어 발표된다.
이때 감점 사항으로는 경로위반과 운동과목의 불실시가 있을 때 1회는 감점 2점, 2회는 감점 4점, 3회의 경로위반이나 불실시가 있을 경우 그 선수는 실권이 된다.
또 알아두어야 할 사항은 선수는 반드시 규정된 복장과 마구만 사용해야 하며 일체의 보조도구를 사용할 수가 없으나 박차는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그러나 마장마술을 관전하는 사람들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경기는 심판들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채점되어 지는 것이므로 나름대로 채점한 것과 결과가 다소 다르더라도 심판들을 신뢰하고 존경하는 마음가짐을 갖는 것이며 , 자기가 응원하는 선수가 최고의 조건으로 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조용히 정숙하게 관전해야한다.

장애물 경기

장애물 경기는 마장마술 경기처럼 주관적인 채점을 하지 않고 규정에 의한 채점 방식에 따라 점수가 나오므로 몇 가지 규정만 알면 쉽게 관전할 수가 있다. 이것은 말과 선수가 각종의 조건하에 설치된 장애물을 어떻게 비월하느냐를 심사하는 경기이다.
경기의 진행은 선수가 입장하여 출발신호가 울리면 출발선을 지나 일정한 순서대로 설치된 장애물을 비월한 후 도착선을 통과할 때까지 장애물의 전도, 거부, 시간 초과 등의 과실을 범하였을 경우 감점을 합산하여 최소 감점자 또는 최고 득점자를 가려 순위를 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마장마술 경기의 예술성보다는 힘과 기를 필요로 하는 경기이다.

  • 감점규정
    • 최초의 불복종 : 4점
    • 비월간의 장애물 전도 : 4점
    • 한쪽 다리 또는 그 이상의 다리가 수호내 또는 한계표시선이나 다른 소재위에 있을때 : 4점
    • 2회째의 불복종 : 실권
    • 말의 전도, 낙마, 인마전도 : 실권
    • 소정 시간의 초과 : 매 4초마다 1점

    관전하는 사람들이 알아둬야 할 것은 코스로 주행중 경로의 중복이나 말의 후진등도 불복종으로 인정하여 규정에 따라 감점이나 실권이 된다.

  • 실 권

    심판부의 재량에 의한 실권

    • 호출했을 때 경기장에 입장하지 않는 경우
    • 승마하지 않고 입장하거나 퇴장할 경우
    • 허가 없이 제 3자의 도움이 있을 때(안경, 모자를 집어준 경우 제외)
    • 경기 개시 후 도보로 경기장에 들어갔을 때
  • 자동적 실권
    • 경기 개시 전 경기장내 장애물을 비월했을 때
    • 출발 신호가 있기 전 출발했을 때
    • 전 주행 중 2회째의 불복종
    • 주행 중 어떠한 지점에서 말이 연속 45초 이상 반항했을 때
    • 낙마, 인마전도인 경우라도 한 장애물을 비월하는데 45초 이상 소요되었을 때
    • 경로위반을 시정하지 않고 장애물을 비월했을 때
    • 경로를 이탈하여 장애물을 비월했을 때
    • 순서에 위반하여 장애물을 비월했을 때
    • 틀린 방향으로 표시기를 통과하고 이를 시정하지 않았을 때
    • 제한 시간을 초과했을 때
    • 전도된 장애물이 복구되기 전 비월했을 때
    • 주행이 중단된 후 "종울림"신호를 기다리지 않고 재출발 했을 때
    • 재 경기에서 지정장애물을 1회 이상 비월하든가 반대방향으로 비월했을 때
    • 거부, 도피, 낙마, 또는 말이 전도된 후 복합장애물의 전부를 비월하지 않았을 때
    • 복합장애물을 각각 별도로 비월하지 않았을 때
    • 도착선을 승마하고 통과하지 않았을 때
    • 주행을 끝내기 전 선수나 말이 경기장 밖으로 나갔을 때
    • 주행 중 승마한 채로 떨어뜨린 물건이나 다른 물건을 받았을 때 (안경 , 모자제외)

이외에 채찍이나 기타의 방법으로 마필을 지나치게 학대하거나 주행 중 마필의 부상으로 경기에 무리가 있다고 판단될 때에도 실권사유가 된다.

이상과 같은 규정을 알면 우선 장애물경기를 쉽게 관전할 수가 있다. 그러나 더욱 흥미 있게 관전을 하려면 이 역시 마장마술경기처럼 선수의 기량이나 말의 능력도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흔히 기량이 모자란 선수가 우수한 말을 타고 나와 비월자세가 엉망이고 호흡일치가 전혀 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그냥 말에 매달려 경기를 하여 입상한 후 그것이 마치 자기의 실력인 것처럼 뽐내는 경우가 있다. 이런 선수에게 축하의 박수를 보내는 것은 단지 자만심만 불러일으킬 뿐이다. 물론 기량 있는 선수가 우수한 말을 가지고 입상하였다면 당연히 그래야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실수로 한 두개의 장애물을 떨어뜨려 감점을 당했더라도 비월자세가 깨끗하고 말에게 전혀 부담을 주지 않으며 경기 태도가 바르고 차분하게 그리고 용기있게 경기를 치른 선수에게 더욱 격려의 박수를 보내는 것이 올바른 관전태도일 것이다.

종합마술경기

86 아시안게임때 한국에서는 처음 실시했던 경기로 한 선수가 한 마리의 말을 가지고 3일 동안 경기를 치루는 3Day Event라 한다.
첫날은 마장마술, 둘째 날은 크로스컨트리(야외기승), 셋째 날은 장애물경기를 한 뒤 점수를 합산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첫날과 셋째 날의 경기는 일반 마장마술이나 장애물경기와 실시요령이 같다.
둘째 날의 크로스컨트리경기는 야외부 정지기승이라고 하는데, 종합마술경기에서 가장 험하고 힘든 구간이다.
언덕 또는 내리막 길에 굵은 통나무로 고정시켜 설치해 놓은 장애물과 도랑, 둑 등이 있어 이것을 넘으며 주행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선수와 말의 부상도 많이 발생하므로 선수와 말 모두에게 용기와 기량이 요구된다.
크로스컨트리경기장의 총 연장 길이는 약 20㎞정도로 매우 길고 넓다. 따라서 경기를 관전하는 사람들은 경기장을 전부 볼 수가 없기 때문에 일정한 장소에서 자기 앞으로 선수가 지나가는 것 밖에 보지 못한다.
그러므로 자기 앞으로 통과할 때 기운을 북돋을 수 있도록 격려하거나 어려운 장애물을 비월하였을 때 아낌없이 마음의 박수(관중들의 큰 박수 소리는 오히려 말을 놀라게 하여 주행을 방해할 수도 있다)를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페이지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여 주십시오.

로딩